'Web/Spring 정리'에 해당되는 글 1건

  1. 2010.02.18 <Spring>

<Spring>

Web/Spring 정리 2010. 2. 18. 14:57
728x90


1. Spring Framework 기본 개념 정리
  (1) POJO (Plain Old Java Object)
       다른 클래스를 상속받아서 만들어야 하는 클래스가 아닌 순수한 형태의 자바 클래스
  (2) IoC(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이라는 뜻으로 개발자가 직접 객체를 언제 생성하고 없앨지 결정하는 것이 아니라
       컨테이너에게 맡긴다는 뜻이다.
       POJO(Plain Old Java Object) 객체의 생성에서 생명주기의 관리까지를
       IoC Container 에게 담당시킴으로써(XML 이용)  개발에 있어서 편의성과 재사용성의 극대화를 추구하는 개념
  (3)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관점 지향 프로그래밍이란 뜻으로 기존의 객체지향언어에 의해 추구된 모듈화에 따라 많아진 중복된
       코드라던지 공통된 처리에 관련한 것들을 관점으로 뽑아내어 공통으로 처리하는 방식

2.  IoC (Inversion of Control)
  (1) Bean 의 관리
       1) Spring 에서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Factory 가 기본 IoC 컨테이너이고,  
           보다 진보된 형태로 ApplicationContext 라는 컨테이너도 같이 지원하고 있다.
       2) IoC 컨테이너에 의해서 Bean 의 생명주기가 관리된다.
       3) 이렇게 관리되는 Bean 은 POJO 타입이고 싱글톤이다.
       4) XML 설정을 통해서 각각의 Bean 들을 묶어주는데, 이런 것을 일컬어 묶기(wiring)라고 한다.
       5) 묶인 Bean 을 원하는 곳에 세팅하는 것을 DI(의존성 주입) 이라고 부른다.
  (2) DI (Dependency Injection)
       의존성 주입이란 뜻으로 객체를 생성해서 필요로 하는 곳에 넣어주는 것을 뜻한다.
       1) Constructor Injection (생성자 주입)
           생성자에 필요 객체를 선언하고 멤버변수(Field)로써 객체를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객체 생성시 자동으로 IoC 컨테이너가 관련 객체를 주입시켜준다.
       2) Setter Injection (세터 메소드 이용 주입)
           생성자 주입과 방식은 비슷하나 setter 메소드를 이용한다는 점이 차이점이다.

 ex) 
 public class ExampleBean {
    private AnotherBean beanOne;
    private YetAnotherBean beanTwo;
    private int i;

    public void setBeanOne(AnotherBean beanOne) {
        this.beanOne = beanOne;
    }
    public void setBeanTwo(YetAnotherBean beanTwo) {
        this.beanTwo = beanTwo;
    }
    public void setIntegerProperty(int i) {
        this.i = i;
    }    
}

       3) Method Injection (메소드 주입)
          Singleton(싱글톤 : 오직 하나의 객체만 생성되는 패턴) 객체와 Non-Singleton 객체간의 연결이 
          필요할 경우 사용하는 방식
  (2) DI 를 위한 xml 설정
       1) Constructor Injection

<bean id="foo" class="com.spring.Foo">
    <constructor-arg><ref bean="bar" /></constructor-arg>
</bean>  

       c.f.) 생성자의 인자가 여러개인 경우 type 이나 index 로써 구별해서 넣어주는 것도 가능하다.
       2) Setter Injection 

<bean id="foo" class="com.spring.Foo">
    <property name="bar">
        <ref bean="bar"/>
    </property>
</bean>

3. AOP (Aspect Oriented Programming)
  (1) 용어 정리
       1) Aspect
           관점이란 뜻으로 트랜젝션, 보안, 로깅 처럼 공통적으로 쓰이는 부분들에 개입하는 것을 모듈화한 것
       2) Join point
           클래스의 객체 생성 시점, 메소드 호출 시점, Exception 발생 시점 등 AOP가 개입되는 시점을 말한다.
       3) Advice
          특정한 join point에서 interceptor 형태로써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을 뜻한다.
          <1> Before advice : 메소드 호출전의 기능 제공
          <2> After returning advice : 모든 메소드 실행이 다 끝나고 난 뒤 기능 제공(익셉션 발생하지 않음)
          <3> After throwing advice : 익셉션이 던져졌을때 기능 제공
          <4> After (finally) advice : 익셉션 발생이 됐던 안됐던 간에 기능 제공
          <5> Around advice : 가장 강력한 advice 로써 메소드 시작부터 마지막까지 두루 기능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
       4) Pointcut
           정규 표현식이나 AspectJ의 문법 등으로 실제로 적용되는 join point 를 선언하는 것을 뜻한다.
       5) Weaving
           실제 aspect 객체와 대상 객체를 컴파일시나, 로딩시나, 실행시에 합쳐주는 것을 뜻한다.
       6) Target
           실제 advice를 받는 객체로써 대상을 뜻한다.
  (2) Spring AOP
       1) Spring 에서 지원하는 AOP로써 proxy 기반이다. AspectJ 라는 AOP 툴이 있지만, Spring AOP 만으로도
           Bean에게 거는 AOP 기능은 충분히 활용 가능하다. 단, 메소드의 실행에 관해서만 Pointcut 을 걸 수 있다.
       2) Advice 작성을 위한 Advice interface
          <1> MethodBeforeAdvice : 메소드 실행 전
          <2> AfterReturningAdvice : 메소드 실행 후
          <3> ThrowsAdvice : 메소드 실행 중 익셉션 발생시
          <4> MethodInterceptor : 메소드 실행 전, 후 예외 발생시점에 적용
       3) AOP XML 설정
          <1> Annotation 을 이용한 @AspectJ 방식 (Spring 개발팀 추천)
               a. 설정 파일(applicationContext.xml등)에 다음의 구문을 먼저 추가한다.

             b. aspectjweaver.jar, aspectjrt.jar 파일 두개를 lib 에 추가한다.
             c. class 선언부 위에 @Aspect 를 추가한다.
             d. 메소드위에 @Pointcut("execution()") 을 추가한다.(메소드는 private void 의 가명 메소드)
    ※ Pointcut execution 설정방법

execution(modifiers-pattern? ret-type-pattern declaring-type-pattern? name-pattern(param-pattern)
         throws-pattern?)       (?는 생략가능)

            형식 execution(제한자? 리턴타입 패키지? 메소드명(파라미터) throws선언?)
    
             e. Pointcut 의 종류 : execution, within, bean 등 스프링 레퍼런스 문서 참조
             f. Advice 의 종류 : @Before, @AfterReturning, @AfterThrowing, @After, @Around
                                       @Around 사용시 첫번째 인자로 ProceedingJoinPoint 가 있어야 하며 proceed() 메소드가
                                       호출되어야 한다. 그리고 return type 도 Object 로 맞추거나 void 로 맞춰준다.
         <2> XML 스키마를 이용한 설정방식
             a. 위의 <1> 의 a처럼 schema 설정이 잡혀있어야 한다.
             b. xml 설정을 잡는다.
                  <aop:config> : 이 태그 안에 설정을 잡아준다.
                  <aop:aspect> : POJO 방식의 빈으로 aspect 를 설정할때 사용한다.
                  <aop:pointcut>,<aop:advisor> : Spring API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아서 만들 경우 사용한다.
                  ※ <aop:aspect> 안쪽의 advice 태그 종류
                   <aop:before>, <aop:after-returning>, <aop:after-throwing>, <aop:after>, <aop:around>
             c. 관련 Bean을 만들어 주는데 Spring API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경우 다음과 같은 interface를 이용할 수 있다.
                  - MethodBeforeAdvice
                  - AfterReturningAdvice
                  - ThrowsAdvice
                  - MethodInterceptor : around 와 같은 기능

4.  Spring MVC
  (1) 구성요소
       1) DispatcherServlet : 클라이언트 요청을 받아서, 컨트롤러에 요청을 전달하고 컨트롤러가 리턴한
                                       결과 값을  View 에 전달하여 응답을 생성한다. (Struts 의 ActionServlet)
       2) HandlerMapping : 클라이언트 요청 URL 을 어떤 컨트롤러가 처리할지를 결정한다. (struts-config.xml 의 역할)
       3) Controller : 요청을 처리하고 결과를 리턴한다 (Struts 의 Action)
       4) ModelAndView : 컨트롤러가 처리한 결과 정보 및 뷰에 관련한 정보를 담는 객체 (struts의 forward 기능 포함)
       5) ViewResolver : 컨트롤러 처리 결과를 생성할 뷰를 결정
       6) View : 컨트롤러 처리 결과 화면을 생성하는 객체
  (2) 기본적인 Spring MVC 설정 잡기
       1) web.xml 에 DispatcherServlet 의 설정을 잡는다. (여기서 잡은 이름-servlet.xml 파일이 설정파일이 된다)
       2) HandlerMapping 을 이용 URL 과 Bean의 name 속성을 같은 것으로 설정한다.

   <bean id="beanName" class="org.springframework.web.servlet.handler.BeanNameUrlHandlerMapping" />

       c.f.) 만약 이 설정을 넣지 않으면 자동으로 이 HandlerMapping 이 적용된다.
       3) Spring 설정 파일에 name에 URL 을 입력하고 class에 Controller 를 지정한 뒤 작성한다.
       4) Controller 에서는 ModelAndView 객체를 생성해서 직접 갈 곳을 지정해준다.
  (3) HandlerMapping 구현 클래스
       1) SimpleUrlHandlerMapping : 패턴과 컨트롤러 이름을 비교하여, URL 이 패턴에 매칭될 경우 지정 컨트롤러 사용
       2) BeanNameUrlHandlerMapping(default) : URL 과 일치하는 bean 이름의 컨트롤러 사용
       3) ControllerClassNameHandlerMapping : URL 과 매칭되는 클래스 이름을 갖는 빈을 컨트롤러 사용
       4) DefaultAnnotationHandlerMapping :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을 이용 컨트롤러 사용
           참고1) web.xml에 <url-pattern> 을 '/path/*'  같이 설정을 할 경우 전체 경로를 다 사용하고 싶으면
                   HandlerMapping  설정시 <property name="alwaysUseFullPath" value="true" /> 를 넣어 설정을 잡는다.
           참고2) 복수개의 HandlerMapping 구현시 property 로 order 를 넣어서 순서를 정해줄 수도 있다.
  (4) Controller 구현 클래스
       1) Controller, AbstractController : 단순 처리용
       2) AbstractCommandController : 요청 파라미터를 객체에 자동으로 저장해 주고 검증기능 제공한다.
       3) SimpleFormController : 폼을 출력하고 폼에 입력한 데이터를 처리할때 사용
       4) AbstractWizardFormController : 여러 페이지에 걸쳐 데이터 입력시 사용
       5) ParameterizableViewController, UrlFilenameViewController : 단순히 뷰로 바로 전달할때 사용
       6) MultiActionController : 비슷한 로직을 수행하는 기능들을 하나의 컨트롤러로 구현할때 사용
  (5) ViewResolver 구현 클래스
       1) InteralResourceViewResolver(default) : JSP 나 tiles 연동 위한 View 객체를 리턴
       2) VelocityViewResolver : Velocity 연동을 위한 View 객체를 리턴
       3) BeanNameViewResolver : 뷰 이름과 똑같은 이름의 Bean 객체를 View 로 이용
       4) ResourceBundleViewResolver : 뷰 이름과 View 객체간 매핑 정보를 특정 자원 파일에 저장해서 사용 
       5) XmlViewResolver : 뷰 이름과 View 객체간 매핑 정보를 XML 파일에 저장해서 사용
  (6) Validator 와 Errors
       1) Validator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은 클래스로써 command(form)에 들어오는 값들에 대한 검증이 가능하다
       2) 주요 메소드 (Validator 인터페이스를 상속받는 클래스에서 구현해야 하는 메소드)
          <1> boolean supports(Class clazz) : 인자값으로 들어오는 클래스가 검증대상인지 확인하는 메소드
          <2> void validate(Object target, Errors errors) : 실제 검증 메소드 (target 은 command 객체이다)
                a. ValidationUtils 클래스를 통해서 데이터의 검증을 한다. 혹은 Errors 를 이용해 에러를 저장한다.
                b. 이렇게 저장된 오류는 jsp 화면에서 <form:errors> 를 이용해 오류를 보여주는 것이 가능하다.
                c. Errors 에는 전체적인 오류를 저장하기 위한 reject 메소드와 특정 필드에 대한 오류를 저장하기 위한
                    rejectValue 메소드가 있다.
       3) command 가 쓰이는 Controller xml 설정에 프로퍼티로써 validator 를 적용시켜야 한다.
          ex) <property name="validator" ref="reboardValidator"></property>
  (7) HandlerInterceptor
       컨트롤러에서 요청을 처리하기 전이나 후에 뭔가를 수행하고 싶을때 사용한다.
       1) 주요 메소드
          <1> boolean preHandle() : 컨트롤러에서 요청이 처리되기 전 실행
          <2> void postHandle() : 컨트롤러가 요청을 처리한 후에 실행
          <3> void afterCompletion() : 응답이 완전히 끝난 뒤 실행되는 메소드
       2) 사용방식
          HandlerInterceptor 를 상속받거나 원하는 메소드만 구현할 수 있는 
          HandlerInterceptorAdaptor 를 상속받은 클래스를 xml 에서 HandlerMapping 설정에 
          <property name="interceptors"> 로 등록할 수 있다.

5. transaction (트랜젝션)
  (1) ACID : 트랜젝션에서 추구했던 기본 4요소
       1) Atomicity : 원자성  모든 작업이 하나의 단위로 이루어져야 한다 (다 수행되던가 없던일 하던가)
       2) Consistency : 일관성  DB가 트랜젝션 작업중 일관된 데이터를 유지해야 한다
       3) Isolation : 독립성   다른 트랜젝션과 독립적으로 작업이 수행되어야 한다.
       4) Durability : 내구성  일단 커밋된 데이터는 계속해서 유지되어야 한다. 시스템 오류라 할지라도...
  (2) 프로그램적인 트랜젝션
       1) TransactionTemplate을 사용하거나 PlatformTransactionManager를 직접 상속받아서 쓰는 방법이 있다.
       2) RuntimeException 이 던져지면 rollback 이 된다. (그 외의 exception 은 기본적으로 무시)
  (3) 선언적인 트랜젝션
       1) Propagation (트랜젝션의 전파)
          <1> PROPAGATION_REQUIRED : 이미 있는 트랜젝션이 있다면 그걸 쓰고, 없다면 새로 만들어 낸다.
          <2> PROPAGATION_MANDATORY : 이미 있는 트랜젝션이 있다면 그걸 쓰고, 없다면 
                TransactionRequiredException 을 발생시킨다.
          <3> PROPAGATION_REQUIRES_NEW : 이미 있는 트랜젝션을 잠시 멈추고 
                새로운 트랜젝션을 만들어서 수행한다. 새로운 트랜젝션 종료후 기존 트랜젝션이 계속 실행된다.
          <4> PROPAGATION_NESTED : 트랜젝션은 하나만 쓰지만 중간에 savepoint 를 저장하는 방식을 말한다.
                (JDBC 매니져 방식에서만 적용 가능 Hibernate 나 JDO 같은 ORM 에서는 사용불가)
          <5> PROPAGATION_SUPPORTS : 트랜젝션이 없어도 되지만 트랜젝션이 실행되는 중에는 적용을 받는다
                ex) 일일 이체 한도액이 100만원이라고 한다면
                1. 50만원을 이체하는 트랜젝션이 시작
                2. 70만원을 이체하는 SUPPORTS 트랜젝션 시작
                3. 이체한도를 넘기는 결과가 되어 2번의 과정은 롤백이 된다.
                4. 50만원만 이체가 된다.
          <6> PROPAGATION_NOT_SUPPORTED : 트랜젝션이 필요없기 때문에 기존 트랜젝션이 있을 경우
                기존 트랜젝션을 멈추었다가 메소드 실행이 끝난 뒤 트랜젝션을 다시 시작한다.
          <7> PROPAGATION_NEVER : 이미 트랜젝션이 있다면 익셉션을 던져서 메소드 실행을 중지한다.
       2) Isolation (독립성) : 문서 참고
          독립성이 증가하면 동시성은 감소하고, 데이터의 일관성은 증가한다.
          <1> READ_UNCOMMITTED : 트랜젝션 중 다른 트랜젝션에 의한 커밋되지 않은 데이터도 읽어들일 수 있다.
          <2> READ_COMMITTED : 커밋된 데이터만 읽을 수 있다. 
                (다른 트랜젝션에 의한 커밋으로 일어난 변화는 읽어들인다)
          <3> REPEATABLE_READ : 트랜젝션 진행중에는 어떠한 변화점도 읽어들일 수 없다.
                (다른 트랜젝션에 의한 커밋도 상관없이 못 읽어들인다)
          <4> SERIALIZABLE : DB에 하나의 트랜젝션만 허용하는 것으로 하나의 트랜젝션이 실행중에
                 다른 트랜젝션이 접근한다면 잠시 중지했다가 기존 트랜젝션이 끝나고 나면 다시 시작한다.
           단, 오라클은 트랜젝션이 중지했다가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ORA-08177 오류를 발생시킨다.
          <5> DEFAULT : DB가 사용하는 isolation 정책 따름
   ※ 문제점 정리
       - Dirty read : 어떤 트랜잭션 T1이 다른 트랜잭션 T2가 아직 커밋하지 않은 데이타를 읽었는데 
                         T2가 롤백 되는 경우. T1이 읽은 데이타는 dirty.
       - Nonrepeatable read : 어떤 트랜잭션 T1이 계속 해서 같은 데이터를 읽어들이는데 그 사이에 
                         다른 트랜잭션 T2가 데이타를 수정하면 T1은 같은 데이터를 얻을 수 없게 된다.
       - Phantom read : 어떤 트랜잭션 T1이 계속 데이터를 읽어들이는데 그 사이 다른 트랜잭션 T2가 
                                새로운 데이타를 추가하면 T1은 전혀 새로운 데이터를 읽어들이게 된다. 마치 귀신처럼.
   

728x90
Posted by 미스터네오
,